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전체 글

(27)
오랜만에 후디니 공부 이론 강의만 듣는 게 지겨워서 결과를 볼 수 있는 유튜브 강의를 따라해봤다. 다음 튜토리얼 시리즈를 쭉 보면서 따라해봤다.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jtlYXRgqWc&list=PLhyeWJ40aDkUDHDOhZQ2UkCfNiQj7hS5W&index=7 마지막 렌더링이 문제였는데 강의대로 하면 한프레임씩 이미지로 저장이 되는데 이걸 다른 프로그램으로 이어서 영상으로 만드는 건지 아니면 아예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는데 내가 모르는 건지.. 잘 모르겠고 렌더링이 너무 오래 걸려서 렌더링은 안했었다. 그래도 기왕 만든 거 영상으로 저장하고 싶어서 검색해봤지만 영어라서 이해하기 어려웠다. render to Mplay를 누르니까 렌더링된 프레임을 이어져서 영상으로 볼 수 있다..
후디니 공부 25 TWA Joy of Vex 6일차 Point , Vertex, Primitive의 관계 1. Point : 후디니 3D공간 상에서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결과물. (x,y,z) 위치값을 가지고 있어야 포인트로 성립된다. ※ 후디니는 integer로 숫자를 셀 때 0부터 시작한다. 2. Vetex, Vertices : 요구사항은 규칙과 포인트 넘버다. 3. Primitive : 규칙과 포인트 넘버로 생성된 결과물에 대한 정보가 있다. ※ Primitive에서 @P를 읽을 수는 있지만 쓸 수 없다. point가 vetex규칙을 따라서 primitives가 된 것이기 때문에 순서상 primitives의 위치를 바꾼다고 해서 point의 결과를 바꿀 수 없다. Primitive Attribute wra..
후디니 공부 24 TWA Joy of Vex 5일차 1. Modulo % 나누기를 할 때는 / 를 쓰지만 나눴을 때 나머지를 결과로 얻고 싶다면 %를 쓴다. 5 / 2 = 2 5 % 2 = 1 floor() : 내림. 입력한 값보다 작은 수 중 가장 큰 정수가 결과로 나온다. ceil() : 올림. 입력한 값보다 큰 수 중 가장 작은 정수가 결과로 나온다. rint() : 반올림. 입력한 값의 소수점 이하의 값이 0.5 미만은 내림, 0.5이상은 올림한 결과가 나온다. trunc() : 버림. 소수점 이하의 값을 버린 정수가 결과로 나온다. 2. 계단처럼 만들기 3. chramp 이용하기 chramp()가 강의처럼 적용이 안돼서 d = (d - floor(d)); 를 추가했다.
후디니 공부 23 TWA Joy of Vex 4일차 Chramp chramp(”이름”, 적용할 변수나 어트리뷰트) https://www.sidefx.com/docs/houdini/vex/functions/chramp.html chramp float chramp(string channel, float ramppos) float chramp(string channel, float ramppos, float time) vector chramp(string channel, float ramppos) vector chramp(string channel, float ramppos, float time) Evaluates a ramp parameter and retur www.sidefx.com Point No. : 그래프에 찍힌 점..
후디니 공부 22 TWA Joy of Vex Day3 @N과 @Time으로 일렁이는 효과 만들기 & fit() & clamp() tommy와 rubbertoy는 grid처럼 기대했던 것과는 다르게 나온다. @P.y = sin(d)이기 때문에 y값이 -1~1 로 나온다 그래서 tommy와 rubbertoy도 -1~1 사이에 나타난다. normal 값을 정의 내리지않아도 Attribute Wrangle에서 @N을 쓰니까 알아서 분석해서 결과를 보여준다. Attribute이 생성되는 자체로 그 정보를 분석해주는 경우가 있다. 각각의 포인트가 가진 @N이 포인트의 @P에 더해지면 면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포인트가 이동한다. length()는 양수로 나오기때문에 위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.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 이유는 d에 -1을 ..
후디니 공부 21 TWA Joy of Vex 2일차 2/2 clamp() & fit() 이해하기. clamp 와 fit은 비슷한데 다르다. clamp() : 주어진 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정해줄 수 있다. clamp ( input , 최소값, 최대값) → input : 변수나 attribute 최소값을 올리면 최소값보다 작은 값이 모두 최소값과 동일해진다. 최대값을 내리면 최대값보다 큰 값이 모두 최대값과 동일해진다. fit() : 인풋의 결과를 아웃풋에서 최소값과 최대값을 정해준다. clamp의 결과를 가지고 아웃풋의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맞춰준다. fit ( input, input 최소값, input 최대값, output 최소값, output 최대값 ) clamp (@P.y, A, B) fit (@P.y, A, B, C..
후디니 공부 20 TWA 후디니의 정석 Joy of Vex 2일차 1/2 Day 2 Length d가 Geometry Spreadsheet에 나타나지 않은 이유? 변수라서! 1일차에서 했던 변수와 attribute의 차이를 꼭 기억하기 d *= ch("scale");은 d = d * ch("scale");를 줄인 것이다. Distance distance(A,B) 여기서 A와 B는 벡터. A와 B사이의 거리를 구해준다. **disatance (@P, {1,0,3}) 처럼 벡터를 변수가 아니라 숫자로 입력할 때 소괄호()가 아니라 중괄호{}를 써야한다.** 예제) Resample 노드 - 이번엔 길이가 아닌 몇 개로 쪼갤지 segments로 나눠줬다. 거리를 재는 기준이 {1,0,3}으로 바뀌었기때문에 {1,0,3}을 기준으..
후디니 공부 19 - Joy of Vex 시작 10월 4일 Joy of Vex 1 https://www.tokeru.com/cgwiki/index.php?title=JoyOfVex1#Attribute_components JoyOfVex1 - cgwiki Day 1 Download this: File:joy_of_vex.hipnc To save time its a hip file preconfigured with some interesting geo behind a switch node, then a transform sop, normal sop in point mode, point wrangle. As you work through these tutorials you can adjust the switc www.tokeru.com Day1 후디니를 ..

반응형